수체계
진수체계
-
10진수 (Decimal Numbers)
0 에서 9 까지의 10개의 요소로 구성 되며
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진수 이다.
표현식 :
-
2진수 (Binary Numbers)
0 과 1만을 이용
표현식 :
-
8진수 (Octal Numbers)
표현식 :
진수변환
-
Binary => Decimal
변환
소수점의 데이터 형식
-
고정 소수점 표시
-
소수점을 중심으로 정수 부분과 소수부분으로 나뉜다.
-
표시되는 수가 너무 크거나 작을 때 overflow 현상 발생
-
n bit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부호를 포함해 n + 1 bit 사용
-
음수 표현을 위한 3가지 방법
-
부호화 절대 값 표현법
-
부호화된 1의 보수 표시법
-
부호화됨 2의 보수 표시법
-
-
-
부동 소수점 표시
-
고정 소수점의 overflow 해결
정해진 Word 크기 내에서 수를 표시 해야 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연산 알고리즘이 복잡해진다.
-
가수부 (man tissa)와 지수부 (exponent)로 구성 된다.
10진수 +6132.789 는
0 . 6132789 0 04 로 표시된다.
부호 가수부 부호 지수부
-
코드 체계
BCD 코드 (Binary Coded decimal code)
0 ~ 9 까지의 10진수로 나타낸 것
ex) (11)10 2진=> (1011)2
BCD=> (00010001)BCD
3초과 코드
BCD를 수정한 것으로 BCD + (11)2
4bit 코드
5421, 2*421, 7421
알파 뉴메릭 코드 (Alphanumeric code)
ASCII code (American Standard for Information)
-
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코드는 7bit 코드로 (+Parity bit = 8bit)
-
알파벳의 대문자, 소문자, 특수문자 30개 이상의 커맨드(command) 제어동작을 표시 할 수 있다.
부울대수
부울대수의 기본 정의와 정리
-
논리 적인 문제를 고찰 할 때 사용되는 수학적인 이론
True 참 Open 1 |
False 거짓 Closed 0 |
-
기본 정의
-
부정 연산 Inverse operation
-
X |
NOT X |
0 1 |
1 0 |
-
논리곱 연산 ( Logical AND operation )
A |
B |
A•B |
0 0 1 1 |
0 1 0 1 |
0 0 0 1 |
-
논리합 ( Logical OR operation )
A |
B |
A+B |
0 0 1 1 |
0 1 0 1 |
0 1 1 1 |
카르노 맵
-
부울 논리식을 간략화 하고 조작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이장에서 설명된 최대 변수인 4변수를 갖는 어떤 변수 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
카르노 맵
Box 들은 위의 그림에 표시되어 진 것처럼 2개의 변수가 표시 할 수 있는 4가지의 조건식으로 표시되어 진다.